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Next.js
- mysql
- node.js
- centos7
- SpringBoot
- mybatis
- spring3
- Tomcat
- Eclipse
- config
- yona
- jenkins
- NextJS
- rocky9
- FCM
- ajax
- javascript
- pwa
- MSsql
- docker
- Maven
- Java
- MariaDB
- git
- nodejs
- PM2
- Push
- jquery
- popup
- security
- Today
- Total
목록Other (27)
ふたりで
1. 마지막 줄 기준 위로 100줄을 표시하고 이후 계속 출력. tail -100f catalina.out 2. -n 옵션을 사용하면 계속 출력하지 않고 한 번만 출력을 해준다. tail -n 10 catalina.out //(마지막줄기준 이전 10개) 3. 특정 문자열 기준 위아래로 특정 라인 수만큼 계속 출력 tail -f catalina.out |grep -A 20 -B 20 "error" 위의 예시의 경우 "error"라는 문자 기준 위아래로 20라인씩 화면에 계속 출력 하는 조건이다. 위 예시의 [-A 20] 옵션은 after의 약자 ㅋ 조건이 걸린 문자열이 포함된 이후 명시한 라인만큼. [-B 20] 옵션은 before의 약자 조건이 걸린 문자열이 포함된 이전 명시한 라인만큼.
swagger-hub editor로 yml 스크립트를 어찌 짜야하는지 도통 몰라 이것저것 만져보고 수정하고 겁나 헤딩하며 대충 감만 잡았다. 중요한 건 내가 만든 springboot2 restapi 서버 쪽으로 어떻게 연결하느냐 였다... 항상 헤딩하며 느끼는 거지만 알고 나면 진짜 아무것도 아닌 거 더라는;;;; yml 작성 법은 차차 알아 가는 걸로;;; 아래 yml스크립트로 swagger-hub에 명시한 API는 userid/password를 jsonData로 전달하면 response시 jsonData로 암호화된 userid/password를 Return 한다. openapi: 3.0.0 # Added by API Auto Mocking Plugin servers: # Added by API Aut..
1. eclipse에서 프로젝트 생성. 2. 생성된 프로젝트 폴더에서 git 초기화 $ 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C:/Users/user1/workspace-sts-4.2.1.RELEASE/testpro/.git/ 3. yona에 프로젝트 생성 및 해당 프로젝트 주소 복사. 4. git 초기화했던 곳에서 아래와 같이 위에서 복사한 remote 주소 등록. $ git remote add origin http://user1@192.168.10.141:9000/user1/testpro 5. eclipse 프로젝트에서 마우스 우측 메뉴> team> share project 선택하면 아래 화면이 나온다. Git 선택 후 Next. 6. 위화면에서 next시 ..
-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로 조합된 문자열이 도메인루트의 바로 뒤에 붙어올경우 해당 문자열을 redriRedirect 할 URL의 마지막에 붙여주도록 설정 하는 방법이다. - http://test.kr/{12345678} --> https://aaaa.bbbb.kr/popup/testView/{12345678} - apache(httpd) VirVirtualHost 설정 부에 아래와 같이 RewriteRule 부분에 정규식을 적용하여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로 조합된 문자열이 $로 그룹핑이 되며, redriRedirect URL의 끝부분에 $1로 맵핑된다. ServerName test.kr:80 ServerAlias test.kr DocumentRoot "/opt/was/test.kr..
1. 서버에서 session에 값을 넣을때. request.getSession().setAttribute("keyBAuth", 1000); 2. 화면쪽에서 session에 담긴값을 참조 할때. A B C
git --version : 깃 버전 확인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testuser" : 유저 이름 설정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testuser@testuser.com" : 유저 이메일 설정 git config --list : 설정 리스트 출력 git init : 깃 저장소를 현재 폴더에 초기화 한다.( .git숨길폴더가 생성되죠?) git status : 현재 폴더의 상태를 표시 git add : 현재 파일/폴더를 스테이징 공간에 올린다. gid add . : 현재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, 폴더의 변화를 스테이징 공간에 올린다. (하위 폴더 포함) git commit : 깃 저장소에 현재 변화(스테이지의 변화)를 커밋한다. git comm..